본문 바로가기
주식

퇴직금을 2배로 받는 방법(feat. 퇴직연금DC형)

by 영역표시 2022. 10. 17.
반응형

이번에는 직장동기 , 혹은 비슷한 연차인 직장동료보다 퇴직금을 2배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요새 재테크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세상이 되면서 주식투자가 보편화 됐지만 아직까지 많은 직장인들이 퇴직금에 대해서는 무관심 합니다.

 

일단 퇴직금으로  투자를 하실수 있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고  알고 있더라도 원금보장형 상품에 넣어두고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이기 때문이죠

 

직장인 퇴직연금

최근 한국경제와 미래에셋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퇴직연금에서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90~100%라고 응답한 비율이 21.3%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출처 :&nbsp;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2566321>

또한 나의 퇴지금에 어디에 투자되고 있는지 투자 비중을 모른다고 답한 비율도 15.4%나 되는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퇴직연금 가입 상품을 한 번이라도 교체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2020년 아무거나 사도 오르는 주식시장 덕분에 “주식/펀드하면 망한다”는 인식이 많이 바뀌긴 했지만 최후의 보루라고 생각해서인지 퇴직연금에서 만큼은 주식/펀드에 투자하는 것을 무의식으로 금기시 하다보니 원금보자형 상품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퇴직연금 연평균 수익률은 2%밖에 안되다고 하죠

 

물가상승률을 고려한다면 퇴직염금의 실질수익은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제가 다니는 회사 뿐만 아니라 여러분들의 퇴직연금 또한 평균 2% 수익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직장마다 디테일한 차이는 있겠지만 실제 제 주변 지인들의 퇴직연금 수익률을 넌지시 물어보면 2%대로 수렴하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모르거나 원리금보장상품에 몰빵)

 

2배로 받기 위해서는 연평균 수익률

우리가 직장동료보다 퇴직금을 2배로 받기 위해서는 연평균 수익률이 얼마나 되어야 할까요?

 

2배가 되려면 몇십프로의 투자수익률이 필요할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회사를 20년 다닌다고 가정했을때 퇴직금 투자로 연평균 8% 정도의 수익률만 올려도 직장동료보다 퇴직금을 2배 더 받게 됩니다. 실제로 네이버 복리계산기를 통해 확인해보면 매달 20만원씩 퇴직금이 투자된다고 가정했을 때 연평균 수익률 2%와 8%의 20년 후 세전 총 금액은 2배가 넘습니다.

 

  매달 20만원 씩 연평균 수익률
2%
매달 20만원 씩 연평균 수익률
8%
원금 48,000,000 48,000,000
이자 11,057,632 70,589,444
총금액 59,057,632 118,589,444

퇴직연금제도가 잘 발달되어있는 미국과 호주의 퇴직연금 평균 수익률도 8~9%라고 하니 충분히 현실적인 수익률 목표입니다.

그리고 이정도 수익률만 되도 기사 내용처럼 퇴직 후 재취업 걱정하지 않고 해외여행을 다닐 수 있을 정도의 퇴직금이 쌓이게 되는 것이죠

 

직장동료들보다 퇴직금을 2배 더 받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금더 자세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의 퇴직연금 제도는?

우선 본인의 퇴직연금 제도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본인의 퇴직연금 제도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퇴지금을 운영해야한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있는 것입니다.

 

단어가 생소한 분들도 계실텐데 퇴직연금제도는 크게 DB형과 DC형이 있고 본인의 퇴직금은 이 2개 중에 하나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가입된 퇴직연금제도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퇴직금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본인의 퇴직연금이 DB형인지 DC형인지 확인하려면 인사팀에 문의하거나 금융감독원 연금포털시스템에서 조회해보면 됩니다.

스마트폰 본인인증만 해도 쉽게 확인할수 있으니 인사팀과 이야기 하기 싫은 분들이라면 이 사이트를 적극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퇴직연금뿐만 아니라 국민연금/개인연금 등 연금 관련해서 전부 조회가능합니다.)

 

확인겨로가 본인의 퇴직연금이 DB형이고 회사에서도 DB형만 지원한다고 하면 아쉽지만 퇴직금을 더 늘릴 방법이 없습니다. DB형은 회사가 알아서 퇴직금을 운용하고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DB형 퇴직금 운영제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퇴직금 제도입니다. 자신의 근속년수와 퇴직직전 3개월 평균임금에 따라 산출되기 때문에 최대한 오래 근무하고 퇴직하기 전까지 남들보다 연봉을 올리는 것이 직장동료보다 퇴직금을 더 버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만약 본인이 퇴직연금 DC형 가입자라고하면 지금부터 퇴직금 관리에 신경써야 합니다.

 

회사가 매년 퇴직금을  가입자 명의의 퇴직연금계좌로 지급하면 본인이 이를 직접 운용하고 관리햐야 되기 때문입니다.  즉, 퇴직연금 DC형 가입자는 인출만 못하지 퇴직금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는 계좌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투자를 할 수 있다는 말은 어떤 자산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수익률 처이가 발생한다는 의미하고 이 수익률에 따라서 동일한 금액의 퇴직금이 쌓이는 입사동기라 할지라도 추후 내가 받을 수 있는 퇴직금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물론 DB형과 DC형 둘다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토자가 된다고 무조건 DC형이 유리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변경하실 분들은 잘 생각해봐야합니다.

‘나에게 맞는 퇴직연금 제도 고르는 법’도  함께 알아보시면 좋으실것 같습니다.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

 

앞에서 언급한것처럼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퇴직연금 평균 수익률이 2%안 이유는 투자를 해야하는 DC형 계좌를 방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원금보장형 상품에 퇴직금을 넣어두거나 투자를 하더라도 정말 일부 금액만 투자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2566311>

아무거나 사도 수익률 30%씩 찍던 2020년에도 국내 퇴직연금 수익률은 2.58%였다고 하니 심각한 상황이죠

 

결국 우리가 해야할 일은 퇴직금이 스스로 일을 할 수 있게 포트폴리오를 다시 짜는 것 입니다. 우리만 일하는 것이 아니라 돈도 일을 하게 만들어서 연평균 수익률 8%를 만들면 됩니다. 돈이 돈을 불러오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퇴직금을 집어넣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핵심은 어디에 투자해야할지 알아보는 것인데요. 이 역시 심플합니다. 연평균 8%의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면 미국 S&P 500이나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나 펀드만 매수해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고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투자가 처음이라 걱정되는 분들이라면 해당포스팅을 참고하시고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전글 : 퇴직연금DC형) 투자가 처음이라 걱정되는 분들에게

 

퇴직연금DC형) 투자가 처음이라 걱정되는 분들에게

여러분들은 노후 준비 잘 하고 계신가요? 우리나라가 노인빈곤율 OECD 1위 이기도 하고 누구나 회사를 그만두고도 생활이 가능한 자본주의 시스템을 30대 때 만드는 것이다 보니 연금에도 관심이

markyourplace.tistory.com

 

투자의 귀재인 워렌버핏이 투자의 현인’이자 세계 4대 부자인 워런 버핏(Warren Buffett)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 회장은 투자에 관해 자신의 가족에게 어떤 조언해주겠냐는 질문에

 

“유서에 내가 죽은 뒤 아내에게 남겨진 돈은 국채 매입에 10%를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전부 S&P500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고 썼습니다.” 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1957년부터 2018년까지 500개 종목을 지수에 편입한 이후 연평균 수익률은 약 8%이기 때문에 테이퍼링이 어쩌고 인프레이션이 어쩌고 해도 미국 지수 추종하는 펀드나 ETF에 투자하셔도 훌륭하게 연금운용을 하실수 있을 것 입니다.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퇴직연금 평균수익률이 2%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괜찮은 수익률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미래에도 이런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지 없을지 알 수 없지만 이렇게 20년동안 가마니식 투자를 해도 대한민국에서 퇴직연금 수익률 기준 상위 10%안에 들것이라 생각합니다.

 

장기간 투자하면 결국 시장지수에 수렴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퇴직연금 DC형 담당금융사를 고민하는 분들이라면 꼭  증권사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회사마다 지원하는 금융사가 달라서 증권사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직장 내 가능한 금융사풀은 인사팀에 물어보시면 됩니다. 증권사를 추천하는 이유는  은행이나 보험사에 비해 더욱 다양한 종목들에 투자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ETF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권사에서만 다양한 ETF에 투자할 수 있다보니 증권사에서 관리하는 퇴직연금의 수익률이  가장 좋은 상황입니다. 

<출처 :&nbsp;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1/62797/>

 

지금까지 직장동료보다 퇴직금을 2배로 받을 수 있는 퇴직연금 관리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기회가 되면 저도 직접운용해보면서 수익률이나 투자현황에 대해서 공유해 볼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댓글